용인 흥덕육교 연결통로 [LED적용]
16mm 셀렉토갈 그린
용인의 흥덕육교에 셀렉토갈 그린색상이 적용되었다.
하부쪽에 LED와 함께 분광구조의 셀렉토갈이 적용되었는데
조명을 사용한 만큼 밤과 낮의 느낌이 다르다.
![]()
<용인 흥덕육교 조감도>
![]()
윗쪽에 사람이 통행하는 곳에는 단판(렉산)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.
이같은 곳에는 통행자들의 심리적 안정을 위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단판선택도 나쁘지 않다.
육교 밑부분에는 셀렉토갈 설치를 위한 하지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.
![]()
사진에서 보이는 것 처럼 곡선이 져서 시공되었다.
복층판의 일반적인 최소 곡률(R값)은 두께 X 180을 하면 대충 구해볼수가 있다.
16mm두께라면 16 X 180 = 2,880 이다. (최소 R값 / 또는 밴딩값)
물론 이는 평균적인 곡률을 계산하는 방법이고, 현장에 따라서 적용하는 길이에 따라서
약간의 차이는 발생할 수 있다.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LED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투명색상 또는 유백색상을 사용하는 사례가 더 많기는 하다.
당 현장에서는 낮에 보이는 미관에서도 시민들에게 편안함을 주고자 했는지
과감하게 그린색상을 선택하였다.
그린계열의 색상은 보는이의 눈을 편안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.
![]()
단판(렉산)적용 구간이다.
시야 확보를 위해 이렇게 부분적으로 유리나 렉산을 교차적용하는것도 현명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.
아래사진부터는 야간에 LED가 적용된 모습들이다.
판넬 자체가 그린색상이라 다양한 LED색상의 표현에 제약이 있지 않을까 우려되었는데
생각보다 블루, 레드 색상까지 잘 표현되었다.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